아직 웹사이트가 없는 분도 있고, 웹사이트에서 구글 애널리틱스가 설치되어있지 않은 분들도 있을텐데오. 구글 애널리틱스 가이드에 대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웹사이트가 없는 분들을 위해 데모버전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데모계정에 접근하는 것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가이드
구글 애널리틱스 데모 계정 접근하기
데모 계정은 구글의 가상 쇼핑몰인 Google Merchandise Store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보내고, 쌓여있는 데이터를 직접 볼 수 있게 됩니다. 구글 검색창에 [구글 애널리틱스 데모 계정]이라고 검색하게 되면 Google Support에서 지원해주는 구글 애널리틱스 데모 계정이 나타나게 됩니다.
상단의 [데모 계정 엑세스]를 클릭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게 되는데 다시 한 번 데모계정엑세스를 클릭해주세요.
그러면 구글 애널리틱스 계정이 나타나게 됩니다.
톱니바퀴모양의 관리버튼을 클릭하면 구글 애널리틱스의 홈화면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1)계정 : 하나의 비지니스를 지칭하는 단위로, 구글 계정 하나당 100개의 구글 애널리틱스 계정을 가질 수 있습니다. 쉽게말해 하나의 구글 계정으로 100개의 브랜드를 관리할 수 있게됩니다.
2)속성 : 다양한 브랜드로 나뉠 때, 브랜드 별로 관리할 수 있는 단위입니다. 하나의 구글 애널리틱스 계정당 50개의 속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3)보기 ; 우리가 보고싶은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구분해주는 단위입니다. 속성 하나당 보기는 최대25개까지 만들 수 있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가이드 확인하기
1. 실시간 – 개요 리포트
실시간 카테고리는 ‘지금, 이 순간’에 우리 웹사이트에 방문한 유저들의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영역입니다. 실시간 카테고리 중 [개요] 리포트는 사이트 내에서 가장 러프한 데이터(방문자 수, 방문 위치, 머물고 있는 페이지 등)를 제공합니다.
우선, [실시간 카테고리] – [개요] 리포트로 이동합니다.
데이터가 어느 정도 쌓여야 맥락을 구성하고, 인사이트를 뽑아낼 수 있습니다. 별도 세팅을 하고, 그 세팅 값들이 잘 들어오는지 등의 검수를 하기 위한 방법으로 [실시간] 리포트를 많이 이용합니다.
2. 잠재고객 – 연령 리포트
잠재고객 카테고리에서는 우리 웹사이트에 방문한 유저들의 연령, 성별, 관심사 등의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그 중 [연령] 리포트는 고객의 연령별로 다양한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는 리포트입니다.
3. 획득 – 채널 리포트
획득 카테고리에는 웹사이트에 유입된 고객들이 어디서 들어왔는지에 집중하는 리포트들이 모여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채널] 리포트는 고객의 유입 채널을 가장 큰 단위로 나누는 리포트입니다. 예를 들어, 네이버에서 특정 키워드를 검색해서 우리 사이트에 들어온 유저가 있다고 사정합시다. 다른 리포트에서는 ‘네이버 검색’을 통해 들어왔다고 구분하지만, [채널] 리포트에서는 단순히 ‘검색’을 통해 들어왔다고 구분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가이드 요약정리
1. 구글 애널리틱스 데모계정이란?
- 아직 구글 애널리틱스가 없는 사람들을 위해 가상의 쇼핑몰을 대상으로 데이터가 쌓여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계정
2. 구글 애널리틱스 리포트의 구성
- 실시간: ‘지금 이 순간’ 우리 웹사이트에 어떤 사람들이 어디서 들어왔고, 지금 우리 웹사이트에서 어느 위치에 머무르고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리포트들이 모여있는 카테고리
- 잠재고객: 우리 웹사이트에 들어온 사람들이, ‘어떤 사람들(연령, 성별, 기기, 관심사 등의 정보)인지?’를 다루고 있는 리포트들이 모여있는 카테고리
- 획득: 우리 웹사이트에 들어온 사람들이 ‘어디서’ 유입(획득)되었는가에 집중하고 있는 리포트를 모아둔 카테고리
- 행동: 웹사이트에 들어와서, 도대체 ‘어떤 행동(이탈, 클릭, 스크롤과 같은 사용자 행위)’을 하고 있는가에 집중하고 있는 리포트를 모아둔 카테고리
- 전환: ‘설정한 주요 Goal(결제 완료, 장바구니, 회원가입 등의 우리가 설정한 KPI 액션)’을 달성하고 있는지에 대한 지표들을 모아둔 카테고리
3. 구글 애널리틱스 리포트의 핵심 개념
- 측정 기준(Dimension): 데이터를 바라보는 기준, 테이블 표의 가장 왼쪽에 붙어있다.
- 측정 항목(Metrics): 측정의 대상, 측정 기준 다음으로 데이터들이 나열되어 있다.
- 구글 애널리틱스 리포트를 해석할 때는 [전환율]을 중심으로 의사결정을 내려야 한다.
앞으로도 유용한 정보로 함께 찾아뵐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