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도가 벌써 얼마남지 않았다니, 2025 키워드 페이스테크에 대한 포스팅을 진행하도록 할게요.
2025 키워드 페이스테크
2025년 트렌드코리아에서 밝힌 10가지 키워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그 중 페이스테크라는게 궁금해서 정리해두었는데, 아래 포스팅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10가지 키워드
니보어, 아보하, 토핑경제, 페이스테크, 무해력, 그라데이션K, 물성매력, 기후감수성, 공진화전략, 원포인트업
페이스테크란?
페이스테크는 말 그대로 얼굴(Face)과 기술(Tech)이 합쳐진 말로 얼굴을 활용한 기술을 의미하는데요. 페이스아이디와 같이 단순한 얼굴 인식 기술을 넘어서 사람의 감정과 상태까지 파악이 가능한 기술이라고 해요.
정리하자면 AI가 더욱 인간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페이스테크를 활용한 기술 소개
3D 얼굴인식(3D Ficial Recognition)
3D 얼굴인식은 얼굴의 입체적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얼굴을 정밀하게 인식하는 기술인데요. 비대면으로 간편하게 은행 계좌를 만드는 요즘, 이런 3D 얼굴인식을 통해 본인확인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 기술을 통해 얼굴 각도에 의해 발생하는 오류를 최소화 시키고 조명의 변화에 따른 오류를 줄여주는 기술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딥러닝, 감정기반
얼굴표정에서 감정을 분석하는 기술을 의미하는데요. 운전할 때 운전자의 피로를 감지한다거나 미세한 변화를 학습하여 다양한 감정 상태를 인지한다고 보면 됩니다.
라이브니스 감지(Liveless)
얼굴을 인식할 때 사람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기술인데요. 사진이나 영상을 통한 스푸핑(속임수) 공격을 방지한다고 합니다.
어떻게 감지하느냐, 피부의 질감이나 미세한 움직임을 통해 감지한다고 해요. 해당 기술을 통해 악의적인 공격을 막아 시스템 보호가 가능할 것 같습니다.
페이스테크가 2025년 키워드가 된 이유
페이스테크는 무엇때문에 중요 키워드가 되었을까요? 바로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이 확대되면서 비즈니스 뿐만 아니라 사람의 일상에서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데요.
추후 은행에서는 카드없이 얼굴의 스캔만으로 현금인출이 가능해질 수 있다고 합니다. 카드 복제 등의 금융 범죄 예방에 유용하게 작용할 것 같네요.
정리
얼굴을 기반으로 한 기술이기 때문에 정보 보안이나 관련 법적 규제는 강화되어야할텐데요. 이런 규제가 강화되면 정말 많은 절차가 줄어들고 편리하게 이용 가능하겠네요.
AI관련 법 규제가 명확하진 않지만 맞춤형 서비스 보안을 제공하여 프라이버스 보호가 되는 그런 세상이 됐으면 좋겠네요.